신기역 (삼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있는 영동선 철도역이다. 여산 송씨가 개척한 터전이라 하여 신기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1940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92년 현재의 역사로 이전했다. 현재 무궁화호, 누리로, 동해산타열차가 정차하며, 영주, 청량리, 동해 방면으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척시의 건축물 - 임원역
임원역은 2025년 1월 1일에 개통되어 임원항, 임원초등학교, 임원중학교 등 주요 시설과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동해선 상의 역으로, 부전 방면으로는 옥원역, 강릉 방면으로는 근덕역이 인접해 있다. - 삼척시의 건축물 - 근덕역
2025년 1월 1일 개통 예정인 동해선 근덕역은 ITX-마음, 누리로가 정차하며 인근에 원평해수욕장이 있고, 부전역 방면으로 임원역, 강릉역 방면으로 삼척역과 연결된다. - 영동선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영동선 - 묵호역
묵호역은 1961년 개업한 강원도 동해시 소재의 영동선 철도역으로, 묵호항선과 연결되며 여객 위주로 운영되고, 전철 및 바다열차, 동해산타열차가 운행되고, 동해~강릉 구간 셔틀열차가 운행 중이다. - 삼척시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삼척시의 교통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신기역 (삼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신기역 |
한자 표기 | 新基驛 |
로마자 표기 | Singi yeok |
부역명 | 없음 |
소속 노선 | 영동선 |
다음 역 (상행) | 마차리 |
역간 거리 (상행) | 5.4 km |
다음 역 (하행) | 상정 |
역간 거리 (하행) | 5.2 km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신기면 신기역길 89 |
역 번호 | 없음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종류 | 보통역 (열차취급집중역(신호장 관리)) |
역 등급 | 3급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영주 기점 126.6 km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2선 (상대식・섬식) |
개업일 | 1940년 7월 31일 |
폐지일 | 없음 |
환승 정보 | 없음 |
기타 정보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동해관리역 |
역 코드 | 263 |
단말기 코드 | 11686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 |
![]() |
2. 역명 유래
여산 송씨(礪山宋氏)가 새로 개척한 터전이라 하여 신기라고 불린 데서 유래하였다.
1940년 7월 3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나,[2]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월 29일 역사가 소실되었다. 1958년 8월 1일 역사를 신축하였고, 1977년 5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3] 1992년 1월 22일 현재 역사로 이전하였으며, 1993년 4월 10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이후 1997년 11월 20일 무궁화호와 통일호가 정차하기 시작했고, 2004년 4월 1일 통일호 폐지 후에는 무궁화호만 정차하고 있다. 2020년 8월 19일부터는 동해산타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3. 역사
3. 1. 연혁
3. 2. 승강장
신기역은 상대식·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4. 역 주변
신기역 (삼척) 페이지의 역 주변 섹션은 넘겨주기 문서이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인접한 역
분천 방면
도계 - (고사리역) - (하고사리역) - (마차리역) - 신기 - (상정 신호장) - (미로역) - (도경리 신호장) - 동해